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는 컴퓨터 과학과 함께 발전해 왔고, 각 시대마다 기술적 필요와 철학이 반영된 다양한 언어들이 등장했어. 아래는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역사적 흐름과 특징을 시대별로 정리한 내용이야.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이진수로 구성된 명령어
인간이 작성하고 유지보수하기 매우 어려움
기계어의 기호화 버전
MOV, ADD 같은 명령어 사용
하드웨어와 매우 밀접한 저수준 언어
과학/공학 계산용
최초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인공지능 연구를 위해 개발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재귀 중심
비즈니스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
은행, 보험 등에서 많이 사용됨
UNIX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개발됨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표준 언어로 자리 잡음
교육용으로 설계됨
구조적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합
객체지향 개념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언어
C에 객체지향 기능을 추가
성능과 추상화의 균형을 추구
미국 국방부 주도로 개발
고신뢰 소프트웨어에 적합
쉬운 문법, 높은 생산성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빠르게 성장
플랫폼 독립성 (JVM 기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앱에 널리 사용됨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
나중에 Node.js 등장으로 서버 개발에도 사용됨
동적 웹 페이지 생성에 최적화
워드프레스, 페이스북 초기 개발 등에 사용됨
Microsoft가 Java 대안으로 개발
.NET 프레임워크와 함께 성장
심플한 문법, 높은 생산성
Ruby on Rails로 웹 개발 분야에 파급력
애플에서 iOS/macOS 개발용으로 출시
Objective-C를 대체
Google이 개발
단순한 문법 + 높은 성능 + 병렬 처리
메모리 안전성과 성능을 모두 고려한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JavaScript에 타입을 추가한 언어
대형 웹 프로젝트에서 유용
과학 계산과 머신러닝에 최적화
Python: AI,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에서 독보적
Rust: 시스템 안정성과 안전성에서 각광
Go, Kotlin: 백엔드와 모바일 분야에서 계속 성장
JavaScript + TypeScript: 프론트엔드 및 풀스택에서 핵심 언어
WASM (WebAssembly): 웹에서 C/C++/Rust 등 고성능 언어 실행 가능
AI 코드 생성기 사용 증가 (예: GitHub Copilot)
시대 |
대표 언어 |
키워드 |
---|---|---|
1950~60년대 |
Fortran, COBOL, Lisp |
고급 언어의 시작, 계산과 비즈니스 |
1970년대 |
C, Pascal, Smalltalk |
구조적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등장 |
1980년대 |
C++, Ada |
객체지향 본격화, 산업 응용 |
1990년대 |
Java, JavaScript, PHP, Python |
웹과 플랫폼 독립성 |
2000년대 |
C#, Ruby, Scala |
웹 2.0, 오픈소스, 생산성 |
2010년대 |
Go, Swift, Rust, TypeScript |
안정성, 모바일, 병렬성 |
2020년대 |
Python, Rust, Kotlin, WASM 등 |
AI, 안정성, 웹 고성능화 |
궁금한 언어의 세부 역사나 비교, 시대별 기술 트렌드도 더 자세히 설명해줄 수 있어. 어느 쪽이 더 알고 싶어?